Science

[생물] 면역계 정리 2 (T, B세포 성숙, 면역, 항체 등)

Bella0204 2021. 7. 24.

 

캠벨 10판을 기준으로 정리한 면역계 파트 2. 

 

 

B, T세포의 생성과 성숙

  • B세포는 골수에서 생성, 골수에서 성숙된다. 
  • T세포는 골수에서 생성, 흉선에서 성숙된다.

 

B, T림프구 생성 및 성숙과정

 

T세포 면역

  • TCR + CD4 = Th (도움 T세포)
  • TCR + CD8 = Tc (세포독성 T세포)
  • MHC1을 갖는 세포 = 핵을 갖는 모든 세포 (적혈구 제외)
  • MHC2를 갖는 세포 = 수지상세포, 대식세포, B세포, 흉선피질세포 (양성선택에 관여)
  • CD4와 CD8은 MHC를 인식할 때 사용하는 보조수용체이다. 
  • TCR은 클래스가 없고 분비되지 않는다. 
  • Th와 Tc는 MHC에 올려져 있는 가공된 펩티드 항원만을 인지한다. 
  • MHC = 주조직 적합성 복합체 (장기 이식 가능 여부 판단할 때 하는 검사가 이걸 확인하는 것)
  • 피부이식 거부반응은 공여자와 수여자의 MHC가 달랐을 때, 수여자의 면역세포가 공여자의 조직을 공격하는 반응이다. 
  • 골수이식 거부반응은 공여자와 수여자의 MHC가 달랐을 때, 공여자의 면역세포가 수여자의 조직을 공격하는 반응이다. 
  • 적아세포증(Rh식 혈액형)은 아빠가 Rh+, 엄마가 Rh-, 첫째아이가 Rh+인 상황에서 Rh+인 둘째 아이에게 발생한다. 
  • 내 몸에 있는 모든 세포의 MHC1, MHC2는 모두 같다. 

 

주조직적합성 복합체, 면역관련질환

 

 

 

  • CD4는 MHC2 인식에 필요하다. 
  • 세포 외 항원의 항원제시과정에서 리소좀 효소에 의해 가공된 항원은 항원이 들어있는 소낭과 골지체에서 유래한 소낭
  • 이 융합된 소낭(골지소낭)에서, MHC2와 만나 세포 표면으로 제시된다. 
  • 세포 내 항원의 항원제시과정에서 프로테아좀에서 가공된 항원은 소포체에서 MHC1과 만나 세포 표면으로 제시된다. 
  • Tc세포는 감염딘 세포의 MHC1에 제시된 항원을 인지한 후 아래 2경로를 통해 죽인다. 
  1. 퍼포린, 그랜자임으로 세포용해
  2. FasL 경로로 세포자살을 유도한다. 



B세포 면역

 

  • B세포가 활성화되면 BCR은 막단백질에서 분비형으로 변하는데, 분비형으로 된 형태를 항체 또는 면역글로불린(Ig)라고 부른다. 

  • 형질세포란 전문적으로 분비형 항체를 많이 생산하게 된 활성화된 B세포를 부르는 명칭이다. 
  • 형질세포는 분비단백질(항체)를 많이 만드는 세포니까 내막계가 발달되어 있다. 
  • 효과기 Tc세포란 활성화된 Tc세포를 말한다. 
  • 사람은 Th, B, Tc세포에 대한 기억세포를 형성하여 미생물의 재침입시 효과적으로 반응한다. 
  • 예방접종은 기억세포를 만늘어 실제 병원균 침입시 면역반응이 빠르고 신속하게 일어나게 하는 원리이다. 
  • 예방접종은 인공적인 능동면역이다. 
  • 불활성화된 항원을 넣어 기억세포를 만드는 것이 능동면역이고, 항체를 넣어 주는 것이 수동면역이다. 

  • 항원결정부위 = 에피톤 = 표면항원
  • 한 종류의 항원은 일반적으로 여러개의 에피톱을 가지므로, 각각의 에피톱에 특이적으로 결합하는 BCR을 갖는 여러 개의 B세포를 활성화시킨다. 
  • B림프구는 항원을 인지한다.항원은 항체와 결합할 수 있는 물질로 단백질과 비단백질이 있다. 
  • 단백질항원은 B림프구, 수지상세포, 대식세포와 Th이 관여하여 면역반응을 일으키지만, 
  • 비단백질항원은 Th이 관여할 수 없다. 왜냐하면 APC에 의해 제시될 펩타이드 조각이 없기 때문이다. 
  • 하지만 B림피구는 항체를 생산해서 비단백질 항원에 대항한다. 

 

  • 항체기능
  1. 중화, 응집, 침전
  2. 옵소닌화 -> 식작용 촉진
  3. 보체활성 -> 세포 용해 촉진
  4. NK세포 활성화
  • 중화작용이란 에피톱에 항체가 결합하여 병원균의 병원성이 소실되게 하는 것으로 주로 바이러스에서 효과적이다. 

  • 한 클론의 B림프구가 생성하는 항체의 변이영역은 모두 같다. 
  • 한 클론의 B림프구가 생성하는 항체의 불변영역(C)은 클래스전환으로 달라진다. IgA, IgG, IgD, IgM, IgE
  • 항체는 중쇄 2개, 경쇄 2개가 이황화결합으로 결합한 4차구조 단백질이다. 
  • 한 세포(림프구) 당 한 종류의 V 영역을 갖는다. 
  • 항체의 클래스는 C영역이 결정한다. 
  • 항원 인지는 V영역이 한다. 
  • 한 개의 항체는 2개의 변이영역을 가져서 2개의 에피톱과 결합이 가능하다. 
  1. 이량체 = IgA
  2. 오량체 = IgM
  3. 태반통과, 2차면역 = IgG
  4. 침, 모유와 같은 외분비액에 존재 = IgA
  5. 알러지 유발 = IgE


  • 수지상세포는 자기가 제시하는 항원과 꼭맞는 TCR을 가지고 Th를 찾아서 활성화시킨다. 활성화된 그 Th세포는 자신과 같은 모양의 수용체를 갖는 B세포를 찾아 활성화시킨다. 

 


항원특이성

항원특이성은 림프구가 항원을 경험하기 전에 결정된다. 성숙할 때 유전자재배열을 통해 랜덤하게 만들어진다. 

 

면역관용

  • 정상적인 면역시스템에서는 자기 항원에 맞는 항체를 갖는 림프구는 제거된다. 
  • 자가면역질환이란 면역관용에 실패하여 '자기'를 공격의 대상으로 인식해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, 제 1형 당뇨가 대표적이다. 


과민반응

과민반응은 알러젠의 침입으로 생성된 IgE가 비만세포 표면의 Fc수용체에 붙어 발생한다. 알러젠의 재침입시, 알러젠

이 비만세포 막의 IgE에 결합하면 히스타민이 다량 방출되어 염증반응이 일어난다. 

후천성면역결핍증(AIDS)

AIDS는 HIV바이러스에 의해 Th세포의 수가 감소하여 후천면역에 결핍이 생긴 임상적 상태를 말한다. 

반응형

댓글